논문 |
2025. 기후변화 대응행동 형성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적 위험 감소동기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27(1), 200-245.
2024. 메시지 소구유형, 고정관념, 이타주의가 코다에 대한 기회 불평등 인식과 태도 및 정책지지의도에 미치는 영향: 코다에 관한 공공커뮤니케이션 방향성 고찰. 광고학연구, 35(3), 31-58.
2024. 우리나라 PR학 연구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PR연구, 28(1), 107-138.
2023. 대학의 SNS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총장의 사회적 실재감 및 리더십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대학-학생 관계성 및 학생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PR연구, 27(3), 1-33.
2023. 세대 간 연대인식 제고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방향성 모색: 노인세대에 대한 고정관념과 정서, 도덕기반, 연령주의, 미디어 접촉 변인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136, 110-149.
2022.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써 대학 캐릭터 활용이 대학-재학생 관계성에 미치는 영향: 기부의도, 대학 추천의도, 동문활동의도에 대한 실증적 연구. 광고연구, 135, 262-297.
2022. 탄소중립 정책 공유의도와 정책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통합기술수용모형과 가치기반모형을 활용한 탐색적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24(2), 121-1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