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과정

Photo

김정은

  
공공 커뮤니케이션, 공공정책, 갈등 커뮤니케이션

학력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박사과정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홍보전공 석사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학사
경력 대한민국 국회, 국회의원 이용선, 정책 비서관
서울특별시의회, 언론홍보실, 홍보마케팅 주무관
(사)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미디어회원센터, 연구원
광고대행사 캠페이너스, 기획팀, AE (광고주: 라이나생명, SK증권, 두산타워 등)
연구관심분야 공공 커뮤니케이션 (공공PR 및 캠페인), 공공정책, 갈등 커뮤니케이션
논문

2024. 친환경 행동에 관련한 온라인 액티비즘의 매개적 역할 탐구 : 지구온난화에 관련한 인지적·정서적 요인과 친환경 행동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26(1), 73-116.

2023. 세대 간 연대인식 제고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방향성 모색: 노인세대에 대한 고정관념과 정서, 도덕기반, 연령주의, 미디어 접촉 변인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136, 110-149.

2018. 대학생들의 투표 참여 의도를 이끄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정치 대화와 투표자 우대 제도, 내재적·외재적 정치 효능감을 중심으로. PR연구, 22(5), 1-29.

2017. 대학생 투표율을 제고하는 공공 캠페인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수상 서울특별시의회 사무처 의장표창
기타 IC-PBL, 2030세대를 대상으로 <노인일자리정책> 공감 캠페인 (한국노인인력개발원)

 

Photo

손위수

  
대학 PR, 공공캠페인, 정책 PR

학력 2021 국립부경대학교 신문방송학 석사
경력 (전) 한중건강관리협회 및 부산시 의료관광 해외거점센터(상하이) 홍보자문
연구관심분야 대학 PR, 공공캠페인, 정책 PR
논문

2025. 기후변화 대응행동 형성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적 위험 감소동기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27(1), 200-245.

2024. 메시지 소구유형, 고정관념, 이타주의가 코다에 대한 기회 불평등 인식과 태도 및 정책지지의도에 미치는 영향: 코다에 관한 공공커뮤니케이션 방향성 고찰. 광고학연구, 35(3), 31-58.

2024. 우리나라 PR학 연구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PR연구, 28(1), 107-138. 

2023. 대학의 SNS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총장의 사회적 실재감 및 리더십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대학-학생 관계성 및 학생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PR연구, 27(3), 1-33.

2023. 세대 간 연대인식 제고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방향성 모색: 노인세대에 대한 고정관념과 정서, 도덕기반, 연령주의, 미디어 접촉 변인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136, 110-149.

2022.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써 대학 캐릭터 활용이 대학-재학생 관계성에 미치는 영향: 기부의도, 대학 추천의도, 동문활동의도에 대한 실증적 연구. 광고연구, 135, 262-297.

2022. 탄소중립 정책 공유의도와 정책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통합기술수용모형과 가치기반모형을 활용한 탐색적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24(2), 121-160.

학술대회

2023. 국내 PR 연구, 어디까지 왔는가?: 2013년부터 2022년까지 10년 간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PR 논문 내용분석. 한국광고홍보학회 2023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Photo

딩샹보

  
헬스/환경/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공공관계

학력 2023 ~ 현재,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 광고홍보학과 박사과정
2020 ~ 2022,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 광고홍보학과 석사
연구관심분야 헬스 커뮤니케이션, 환경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공공관계
논문 2024. Can Chinese Pastoral Videos be Effective for Promoting Foreign Viewers’ Travel and Word-of-Mouth Intention? Exploring Characteristics of Chinese Influencer, Attributes of Content, and the Mediating Role of Parasocial Interaction.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21(2), 234-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