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한미정 교수

Table Caption
연구실 언론정보관 412호
Tel 031-400-5427
E-mail mjhan909@hanyang.ac.kr

한미정은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로 주요 연구분야는 환경 커뮤니케이션, 온라인 액티비즘과 소셜미디어 캠페인, 고령화 이슈 및 정책PR 등이다. 공공이슈/문제의 소통과정에 관여하는 수용자, 메시지 전략, 메타버스 매체 및 커뮤니케이션 속성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고 디지털 소통환경에서의 공공커뮤니케이션 이론적 정립과 확장, 보다 적확한 연구결과의 소통을 통한 공공문제 해결에 관심을 두고 있다.

학력

1997. 08 미국 코넬대학교(Cornell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학과 박사졸업
1993. 01 미국 코넬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석사졸업
1989. 03 서울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 졸업

경력

2003 - 현재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2009 - 2010 도쿄대학교 정보학부 International scholar
1998 - 2002 성결대학교 경영학부
2000 - 2001 미국 코넬대학교 Visiting scholar

학회

2011 - 현재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 자문위원
2012 - 2013 한국언론학회 감사
2010 - 2011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총무이사
2010 - 2011 한국광고학회 기획이사
2006 - 2009 한국언론학회 미래위원회 위원
2007 - 2008 한국언론학회 총무이사
2005 - 2007 한국홍보학회 편집이사

주요 논문

Table Caption
2025 기후변화 대응행동 형성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적 위험 감소동기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27(1), 200-245.
2024 친환경 행동에 관련한 온라인 액티비즘의 매개적 역할 탐구: 지구온난화에 관련한 인지적・정서적 요인과 친환경 행동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26(1), 73-116.

Can Chinese Pastoral Videos be Effective for Promoting Foreign Viewers’ Travel and Word-of-Mouth Intention? Exploring Characteristics of Chinese Influencer, Attributes of Content, and the Mediating Role of Parasocial Interaction.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21(2), 234-255.
2023

세대 간 연대인식 제고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방향성 모색: 노인세대에 대한 고정관념과 정서, 도덕기반, 연령주의, 미디어 접촉 변인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136, 110-149.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 지각과 지각된 정책효능감이 탄소중립 정책지지 및 정책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책리터러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25(1), 205-242.

2022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써 대학 캐릭터 활용이 대학-재학생 관계성에 미치는 영향: 기부의도, 대학 추천의도, 동문활동의도에 대한 실증적 연구. 광고연구, 135, 262-297.

탄소중립 정책 공유의도와 정책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통합기술수용모형과 가치기반모형을 활용한 탐색적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24(2), 121-160.

2021

한국에서 수행된 중국광고 관련 연구의 경향분석: 2011년~2020년 한국학술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 KCI) 등재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5(5), 328-366.

지각된 위협과 지각된 효능감이 친환경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예기된 죄책감을 통한 EPPM의 확장 가능성. PR연구, 25(1), 50-89.

2020

의학정보 유튜브 콘텐츠의 이용과 확산의도의 영향요인 탐색: 개인적 심리, 콘텐츠 평가, 사회규범, 그리고 인지된 유용성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126, 80-109.

스타트업 기업의 사내커뮤니케이션과 사회적 자본이 경영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 고찰: 사회적 자본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22(2), 76-114.

2019 유튜브 인플루언서의 인도스먼트(endorsement) 영향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인플루언서의 특성, 콘텐츠의 특성, 의사사회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PR연구, 23(5), 35-71.
2018

기업미술관 메세나활동이 미술관 호감도 및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젠더 & 문화, 33(4), 53-106.

대학생들의 투표 참여 의도를 이끄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정치 대화와 투표자 우대 제도, 내재적·외재적 정치 효능감을 중심으로. PR연구, 22(5), 1-29.

청소년의 성형태도와 성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탐색. 미디어, 젠더 & 문화, 33(1), 51-92.

2017 조직원의 심리적 주인 인식과 기업 이미지 형성에 대한 탐색적 고찰. 광고연구, 115, 297-331.
2016 기부 활성화를 위한 캠페인 연구: 2030세대의 개인적 성향과 기부행동. 미디어, 젠더 & 문화, 31(3), 257-291.
2015

The role of negative emotions on motivation and communicative action: Testing the validity of situational theory of problem solving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6(1), 76-93.

TV 공익광고에 나타난 스토리텔링 기법의 탐색 : 2003∼2013년의 공공캠페인을 중심으로. PR연구, 19(2), 51-73.

모바일 리워드어플리케이션 광고의 효과 연구: 이용행동, 인식, 이용가치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17(2), 71-103.

2014

위기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의 사회-기술적 재난에 대한 신문의 보도행태 분석: 구미 불산 누출 사례. 한국위기관리논집, 10(11), 21-53.

프로야구 팀 충성도의 행동적 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팀 제품구매 및 경기장 재관람 의향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101, 31-61.

공공갈등 이슈에 대한 정부의 갈등관리전략이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행동과 정책수용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25(1), 91-125.

저서

2003 인터넷으로 PR하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웹 사이트 전략 워크북, 도서출판 그린

수상

2012 한국광고홍보학회 최우수 논문지도 교수상 수상